경기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 입구에 들어선 ‘반딧불이 화장실’은 보통 화장실이 아니다.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화장실로 선정된 이곳은 마치 고급 호텔 화장실에 온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미술전을 개최할 정도로 독창적인 디자인과 청결한 유지관리를 자랑한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잘 모르는 중요한 시설이 있다. 바로 중수도 시설로 세면대에서 사용한 물을 여과 및 소독 과정을 거쳐 대·소변기 용도로 다시 활용하는 물 재활용 장치이다. 이 화장실 한 곳에서만 연간 1800여t의 수돗물을 절약하고 있다.
수원시의 앞서가는 공중 화장실 물 절약(중수도) 사업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물 부족 국가인 우리나라에서 중수도 사업은 이젠 선택이 아닌 필수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수원시의 선택은 탁월했다. 화장실 물 부족 문제만 해결한 게 아니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게 됐다. 두 곳에서만 연간 3400t의 수돗물을 절약하고 0.73t과 0.65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수원시는 서수원 주민편익시설 등 19곳의 공중화장실에 중수도를 설치했으며 앞으로 모든 공중화장실로 확대할 방침이다. 19곳에서 추가로 연간 4만 4895t의 물을 절약하게 됐다. 염태영 시장은 이런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벌써 다음 단계를 구상한다. 염 시장은 “물 절약을 위해 중수도 사업과 함께 빗물을 모아뒀다 사용하는 ‘빗물저금통’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제성이 낮다는 일부의 지적도 있지만 금전적인 효과 외에도 환경보호와 재난방재 등 수치화할 수 없는 가치들이 무수히 많다”며 의욕을 보였다. 반딧불이 화장실은 나비효과를 불러왔다.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공중화장실은 물론 학교 등 교육시설, 고속도로 휴게실 화장실 등으로 중수도 시설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2010년 5월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한 데 이어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개정했다. 건축 연면적 6만㎡ 이상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물을 신축·증축·재축하는 경우에는 물 사용량의 10% 이상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중수도 설치를 의무화한 것이다. 2011년에는 15개 지자체의 공중화장실 16곳에, 지난해에는 50곳에 중수도 시설을 설치했다. 안전행정부는 시설 설치에 필요한 예산 50%를 지원하는 등 중수도 도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고속도로 휴게소 화장실 중 50여곳에 설치했으며 환경부는 하수처리수를 정화해 공업 용수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