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관련뉴스‎ > ‎

정부 지자체 뉴스(5월3주)

게시자: 이승태, 2014. 6. 6. 오후 7:55

1. '한강 수질오염 막자'…시설물 방치하면 과태료 최고 300만원

 

한강유역환경청은 한강수계 상수원의 수질관리를 위해 이달 말까지 수상시설물 관리 실태를 조사한 후 6월부터 불법행위를 단속한다고 8일 밝혔다.

한강수계에는 수상레저업(135개소)과 낚시배, 보트 등 유·도선업(32개소), 어촌계 선착장(5개소) 등 172개 수상시설물이 허가를 받아 운영되고 있다.

주요 점검대상은 선착장, 화장실 등 시설물 운영·관리, 오·폐수 및 생활쓰레기 처리 실태, 폐선박 방치 여부, 선박연료(위험물) 보관 실태, 하천 수질오염 여부 등이다.

한강청은 지난 4월부터 수상시설물에 대해 실태를 조사했으며 이번 달에는 수상시설물 관리자가 스스로 오염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환경지킴이 하천순찰을 통한 계도활동으로 현장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상레저 활동이 활발해지는 6월부터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하천 수상시설물 특별점검을 실시해 고의적인 하천오염 등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개인하수처리시설 방류수의 수질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물을 담은 용기를 옥외의 선반 등에 저장하는 경우, 하천에서 세차를 하는 경우 등의 불법 행위는 최저 50만 원에서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2. 낙동강환경청, 봄철 오염물 배출업소 점검- 폐수무단방류 등 낙동강 오염행위 집중 단속

 

낙동강유역환경청(청장 백운석)은 낙동강 환경오염사고와 조류발생 예방을 위해 김해시·진주시·의령군이 참여하는 오염물질 배출업소 합동점검을 이달 중 실시한다.

올해는 예년보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조류 발생 저감을 위해 낙동강 본류·지류로의 오염물질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 배출, 방지 시설의 정상가동 여부, 폐기물·가축분뇨 보관상태 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며 적발된 업체에 대해서는 고발 등 강력하게 조치할 계획이다.

특히 낙동강 환경감시벨트 내 배출업소 중 폐수를 자체적으로 처리해 방류하는 업체에 대해서는 정밀 단속을 실시한다.

사업장 방류수 시료 채취는 물론 오염이 의심되는 하천에는 간이 수질분석 키트를 사용해 수질 상태를 현장에서 수시로 파악하고, 수질오염이 확인될 경우에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비점오염원이나 인근 배출업소에 대해 집중 점검한다.

이번 단속기간 동안 적발되는 오·폐수 무단방류, 폐기물 불법처리 등 반사회적인 환경오염사범은 고발 등 엄중하게 처벌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매월 낙동강 수계 환경감시벨트 지역에대해 관할 지자체 및 민간환경감시원 등과 지속적인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폐수 무단방류, 폐기물 불법매립 등 환경오염행위를 목격하는 경우 국번 없이 ☎128번(환경신문고)이나 낙동강유역환경청 환경감시단으로 신고하면 된다.

 

 

3. (홍천군) 깨끗한 상수도 공급용 저수조 청소 실시

 

 



 강원 홍천군 상하수도사업소는 맑고 깨끗한 상수도 공급을 위해 내달 3일까지 관내 8개 정수장 저수조의 청소를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청소는 수도법 제33조에 근거해 매년 상하반기 2회에 걸쳐 실시되고 있으며 정수장 시설(착수정·침전지·정수지·배수지)내부 청소, 슬러지 처리 등을 시행하게 된다.

이에 사업소는 258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관내 전문업체와 위탁 계약을 체결 및 태학·성산·자은·도관·풍암·양덕원·속초·창촌 등 8개 정수장의 저수조 청소를 시행 중에 있다.

봄철 갈수기의 오염요인과 영농철을 맞아 배출되는 농업용수의 하천유입 등으로 저수조에 오염돼 있을 요인들을 청소함으로서 상수도의 사용이 많은 하절기 동안 깨끗하고 안전한 상수도 공급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정수장의 저수조 청소를 위해 내면의 창촌 정수장은 14일, 내촌면 도관정수장은 28일에 단수를 실시한다.

 

 

                                   韓國生活下水處理協會 (02-2164-9370)

                                    Korea Domestic Sewage Treatment Association


Comments